본문 바로가기

평생직업2

포기하지 않는다면 직업은 평생 사라지지 않는다. 직업이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대체되는 것 누가 직업이 사라진다고 걱정하고 위기를 강조하는가? 영국에서 시작된 18세기 중반에서 19세기 초까지의 산업혁명은 시초에 불과했다고 한다. 이후 무려 250년 이상 산업혁명이 지속되면서 산업전반에 대한 구조는 새로운 기술혁신에 따른 도시로의 인구 집중현상이 발생하면서 엄청난 일자리가 탄생되고 농민의 인구는 감소되었다. 20세기 후반에서 21세기에 들어서면서 산업혁명이 만들어낸 산업사회는 정보혁명시대로 산업구조가 전환되기 시작했다. 이때 기존 산업사회에서 익숙해져 있던 전통적인 일자리의 대변혁이 일어나기 시작한 것이다. 일부 학자들은 새로운 일자리가 생기고 기존의 일자리가 사라 질 것이라고 말한다. 사실 산업구조가 바뀌는 과정에서 기성세대들이 종사하던 직업의 변화는.. 2022. 12. 26.
나만의 아지트가 경제 놀이터가 된다면... 평생직업에서 오는 슬럼프 평생직업의 개념이 사라진 지 오래되었다. 자기 적성에 맞는 일을 찾아 오랫동안 종사하는 사람도 있다. 하지만 대부분 사람들은 인생의 절반 이상을 직장과 직업이라는 한 번 정해진 생활 패턴에 익숙해져 살아간다. 자기 마음대로 룰을 바꿀 수 없는 직장생활에서 오는 지루함과 슬럼프가 주기적으로 반복되면서도 새로운 세상을 찾기 위한 시도조차 할 수 없다. 지루함과 갈등은 왜 일어나는 것일까? 직장에서의 목표가 있을 리 없고 예기치 못한 다양한 변수들이 일어날지 모르는 불안감과 아무리 노력해도 충족되지 않는 경제적 문제가 주기적으로 찾아와 마음의 여유를 허용하지 않기 때문이다. 어쩌면 자신이 하고 싶은 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강박관념에서 오는지도 모른다. 시간은 화살처럼 빠르다. 무엇인.. 2022. 12.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