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나만의 아지트가 경제 놀이터가 된다면...

by 센꽃 2022. 12. 26.
반응형

<루트스퀘어 틀밭>

 

평생직업에서 오는 슬럼프

평생직업의 개념이 사라진 지 오래되었다. 자기 적성에 맞는 일을 찾아 오랫동안 종사하는 사람도 있다. 하지만 대부분 사람들은 인생의 절반 이상을 직장과 직업이라는 한 번 정해진 생활 패턴에 익숙해져 살아간다. 자기 마음대로 룰을 바꿀 수 없는 직장생활에서 오는 지루함과 슬럼프가 주기적으로 반복되면서도 새로운 세상을 찾기 위한 시도조차 할 수 없다.

지루함과 갈등은 왜 일어나는 것일까? 직장에서의 목표가 있을 리 없고 예기치 못한 다양한 변수들이 일어날지 모르는 불안감과 아무리 노력해도 충족되지 않는 경제적 문제가 주기적으로 찾아와 마음의 여유를 허용하지 않기 때문이다. 어쩌면 자신이 하고 싶은 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강박관념에서 오는지도 모른다. 시간은 화살처럼 빠르다. 무엇인가 시도하기도 전에 새로운 도전이 망설여지는 나이와 산업적 패러다임 속에 살아가는 현대인에게 있어 경제적 구조가 지루함, 싫증, 갈등과 비대칭을 이루면서 슬럼프의 크기가 확대된다.

 

온전히 나를 만날 수 있는 곳

스스로 규칙을 정하고 바꾸고 싶을 때는 언제든 바꿀 수 있는 내가 하고 싶은 일과 목표가 될 수 있는 일. 여가시간이면 늘 취미처럼 찾아가 머물 수 있는 곳, 더 나아가 부족한 경제적 부분을 충족할 수 있는 일이 있다면 강한 자부심의 목표가 살아날 것이다. 바로 그러한 장소와 일을 해결해 줄 수 있는 방법으로 나만의 아지트를 만들어 보는 것을 추천한다. 나의 아지트라는 상상만으로도 뿌듯함으로 가득 차 아이디어들이 물밀듯이 밀려들어 올 것이다. 

친구를 만나 술 한잔 기울이면서 삶의 재충전이 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카페에서 커피 한 잔을 마시거나 여행, 캠핑, 취미활동 등 다양한 방법으로 살아있다는 표식을 할 수 있다. 그러나 공간을 내 맘대로 설계할 수 있는 자기만의 아지트만큼 강력한 재충전 공간은 없을 것이다. 아지트를 갖는 순간부터 온전히 나를 만나는 연습이 시작되면서 걱정과 갈등은 최소화된다. 누군가에게 나만의 아지트에 초대하고 싶어지기도 하고 한동안은 감추고 싶은 마음으로 어떤 스토리를 가진 아지트를 만들 것인지 설계하고 언제나 찾아와 머물고 싶은 아지트를 완성하는데 집중하기 때문이다. 아지트는 초기 1~2년은 처음 생각한 계획대로 만들어지지 않는다. 누군가가 정해놓은 규칙이나 지시도 아닌 자신만의 룰에 의해서 건축자재, 배치도, 다양한 소재들이 변경되고 평소 생각지도 못했던 상상력이 발휘되는 창의적 공간이며 온전히 나를 만나는 공간이기 때문이다.

 

아지트는 경제 놀이터

아지트 프로젝트를 처음 시작할 때 무조건 소유하고 싶은 욕구보다도 나에게 아지트가 왜 필요한가를 고민해야 한다. 그다음은 직장 밖에서 나만의 비밀스러운 장소이거나 가족과 함께 하고 싶은 일 또는 누군가와 함께 새로운 무엇인가를 시도하고 싶은 일을 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아지트는 가볍게 시작되어야 한다. 자원 가치도 없는데 시간적 경제적 비용이 과하게 들어간다거나 잘 다니고 있는 직장생활의 리듬이 깨지는 요인이 발생한다면 아지트 만들기를 실패하고 만다. 성공적인 아지트라면 시작한 지 1년 정도 지나는 과정 속에서 아지트 프로젝트 설계가 수십 번은 바뀌어가고 10년, 20년 더 길게는 30년 동안 살아오면서 자기와의 만남과 대화할 겨를도 없이 정신없이 살아왔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뿐만 아니라 1년이라는 짧은 시간 동안 나의 대화 상대가 자신이라는 엄청난 사실을 경험하게 되며 한 번도 경험해보지 못했던 상상력이 발휘되고 있다는 것을 발견하게 된다. 스스로의 룰을 만들고 수없이 설계를 변경하고 소재들을 준비하면서 소재의 속성을 알아차리고 자신과의 깊은 대화를 하면서 수십 년 동안 느끼지 못했던 삶의 보람을 느낀다면 직장 밖에서의 아지트는 또 다른 경제 놀이터다. 경제적 놀이터가 될 수 있는 아지트 만들기를 추천한다. 현재 벌어 들이는 월급만큼의 경제적 놀이터가 아니라 그동안 경험하였거나 하고 싶었던 일을 바탕으로 소소한 경비를 해결할 수 있는 정도의 아지트가 시작된다면 가장 이상적이다.

반응형

댓글